
세팍타크로는 말레이시아어(語)로 '차다'는 뜻의 '세팍'과 타이어로 '공'을 뜻하는 '타크로'의 합성어이다. 15~16세기 타이·말레이시아 등에서 머리나 발로 누가 볼을 많이 튀기느냐를 겨루는 경기에서 시작되어 점차 2개의 원에서 볼을 주고받는 경기로 발전하였다.
그 뒤 1945년 코트와 네트를 갖춘 경기로 발전한 데 이어, 1965년 명칭을 세팍타크로로 통일하면서 같은 해 아시아세팍타크로연맹이 결성되었다. 1989년에는 국제세팍타크로연맹이 결성되었고, 1990년 제11회 아시아경기대회(베이징) 때부터 아시아경기대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.
현재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성행하고 있으며, 한국에는 1987년 한국사회체육센터 강습회에서 처음 소개되었다.
이어 1988년 대한체육회의 준가맹 승인을 얻어 그 해 세계세팍타크로선수권대회에 처음 참가하였고, 같은 해 대한세팍타크로협회가 창설된 뒤, 2000년부터 전국체육대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.
경기 방식은 레구(regu:팀을 뜻하는 말레이시아어) 이벤트, 팀 이벤트, 서클 3종류가 있다.
레구 이벤트는 좌·우측 전위 각 1명, 후위 2명, 후보 1명 등 총 4명으로 구성된 방식을,
팀 이벤트는 3개의 레구가 모여 경기를 벌이는 방식을,
서클은 원 안에서 패스를 주고받을 때마다 포인트를 얻는 방식을 말한다.
경기장 포스트(지주)는 바닥에서 높이 1.55m로, 네트를 팽팽히 지탱하는 데 충분할 정도로 강건해야 한다. 네트의 크기는 너비 0.72m, 길이 6.71m이다. 볼은 12개의 구멍이 있는 구형이며, 9~11가닥의 등나무 줄기로 만든다.
경기 규칙
팀구성: 세 명의 선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:
테커(Tekong) 또는 서버, 페더(Feeder) 또는 공격수, 그리고 외쪽과 오른쪽 선수.
코트 크기: 세팍타크로 코트의 크기는 배드민턴 코트와 비슷하며, 너비는 6.1m, 길이는 13.4m입니다.
네트 높이: 남자의 경우 네트의 높이는 1.52m이고, 여자의 경우 1.42m입니다.
공: 공은 직경 13~14cm의 합성 또는 고무 공을 사용합니다.
초기 위치: 테커는 서브라인 위에, 페더는 그 이후의 라인에, 외쪽과 오른쪽 선수는 각각의 영역에 위치합니다.
경기 시간: 경기는 총 3세트로 이루어지며, 세트의 최소 승리 포인트는 15점이다. 14:14일 때는 듀스가 적용되어 2점 차로 먼저 득점하는 팀이, 19:19일 때는 먼저 20점을 얻는 팀이 승리한다.
점수 규칙 서비스: 팀이 서비스 권리를 가지면 테커가 서브를 하게 됩니다. 올바른 서브가 이루어지면, 서브를 한 팀이 점수를 얻을 기회가 있습니다.
순서: 서버가 변할 때마다, 그 팀의 다른 선수가 서브를 수행합니다.
점수 획득: 공이 상대방 코트에 떨어지면 점수를 얻게 됩니다.
라리 포인트 스코어링: 각 라리의 끝에 점수가 부여됩니다. 이는 공을 차 넘기는 팀이나 받는 팀이 점수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
파울: 발이 네트를 칠 경우, 공이 네트 밖으로 나갈 경우, 공이 서브라인을 칠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서 파울이 호출될 수 있으며, 상대방 팀이 점수를 획득합니다.
승리 규칙 :
보통 세트 3개 중 2개를 먼저 이긴 팀이 전체 경기에서 승리하게 됩니다. 만약 양 팀이 각각 한 세트씩 이겼다면, 세 번째와 마지막 세트가 승부의 결정적인 순간이 됩니다.
반칙은 볼이 지면에 닿는 경우, 6m 서클 밖이나 3m 서클 안쪽에 발이 붙은 채 볼을 차거나 패스하는 경우, 볼이 팔이나 손에 닿거나 몸에서 구르는 경우, 건물 안에 있는 조명등·구조물·천장에 닿는 경우 등이다.